경제 이야기

중국에 식품안전 관리기구 설치의 필요성

松宙 2008. 11. 9. 20:29

우리는 몇년전 언제인가 대 재벌기업의 중소기업 품목에 대한 잠식에 대해 비판하며 중소기업의 고유 품목으로 보호아닌 보호로 제한 한적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 중국의 먹걸이 사고의 다발과 관련 돌이켜 보면 물론 대기업의 식품에서도 문제는 발생되지만 그래도 일반 중소기업들의 저가수입을 위한 중국의 현지공장 운영과 OEM식 원료사용 및 하청식품의 그 관리적 문제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먹거리의 안전 문제는 비단 올해 만의 일은 아니다. 2000년 이후만 해도 1~2년에 한 번꼴로 먹거리 안전 관련 대형 사고가 터졌다. 특히 올해는 어느 해보다도 사고가 많았았므며, 올 들어 아직까지 무사한 식품회사는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도 손에 꼽을 정도이다. 금년 식품사고의 통계에 의하면 그 많은 국내 식품회사들 중 최대 식품회사인 CJ가 가장 안전한 회사로 조사 되었다. 이 회사는 2004년 쓰레기 만두 파동, 2006년 학교 급식 파동으로 곤욕을 치르면서 식품 안전관리를 강화해 온 덕분이라고 한다. 이 CJ는 대표이사 주관으로 식품안전위원회를 운영 중이며, 국내뿐 아니라 중국에도 식품안전센터를 두고 있다고 한다.

이회사의 김창민 식품안전센터장은 “업계 일각에선 ‘식품도 공산품인데 100만 개 중 한두 개 불량품이 나올 수 있는 게 아니냐’고 말하는 사람도 있지만 먹거리에 불량품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한다.

1998년 출범한 이 회사의 식품안전센터는 매년 1회 불시에 자사 및 납품회사(OEM 업체) 공장들을 점검한다. 이때 위생 기준에 미달하면 생산 중단 또는 가차없이 거래중지 조치를 취한다. 물론 중국 현지 공장들도 마찬가지다. 중국 칭다오 공장엔 2006년부터 식품안전센터 직원이 상주하면서 제조 공정을 관리하고 있다. 중국 내 OEM 공장에도 본사 품질 검사원을 파견해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CJ는 ‘식품안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교육도 해오고 있다. 주니어·키·마스터 등 수준별로 14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내년엔 OEM 업체 임직원에게도 무상 교육을 할 예정이단다.

또 김 센터장은 “식품회사 전 직원은 ‘문제 제품을 내 가족이 먹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갖고 식품안전 전문가가 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국산 식품 원료를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도 질의 관리가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한국의 식량 자급률이 28%에 불과한 현실에서 식품 원료의 수입은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수입 원료에 대한 소비자 불신도 극복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얘기가 된다.

또한 김 센터장은 그래서 “국내 주요 식품업체가 공동으로 중국에 민간 식품안전 관리기구를 만드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하며, “이번 멜라민 파동은 한국산 식품의 안전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런 사례는 중소기업들의 여건에서 개개의 기업으로선 불가능한 일이다. 이런 대기업의 활동과 또는 정부의 주관 노력으로 중소기업들에 수입되는 모든 식품에도 "식품안전 관리기구"를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강화 한다면 일본도 비켜가지 못한 초유의 금번 같은 식품사태를 우리 대한민국 이땅에서 안전하게 막아내고 먹걸이로인한 국민건강에 빨간불을 켜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