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의 산업현장은 우리가 알게 모르게 서서히 무인 자동화의 세계로 빠져들고 있고, 그 속도도 I.T기술의 발전속도와 더불어 더욱더 빠른 급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 국내 로봇 연구진이 일본, 독일 등 해외 로봇 제조업체에서나 개발되던 산업용 "양팔로봇시스템 기술"을 국산화하는데 성공했다고 한다.
최근 한국기계연구원의 나노융합생산시스템연구본부 박경택 박사팀은 국내 로봇기술 전문회사인 오토파워와 공동으로 최근 첨단 산업용 로봇기술로 급부상하는 '정밀조립을 위한 양팔(듀얼암) 로봇 협조작업 제어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발표한 것이다.
이번 발표한 이 기술의 개발 요지는 양팔 로봇이 마치 사람처럼 양손을 사용해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양팔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그동안 사람만 작업할 수 있던 4D, 5D공정 까지도 복잡한 구조의 자동차나 정밀기계의 부품 조립공정에 로봇을 적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한팔 로봇은 산업 현장에서 이송, 적재, 용접 등 단순 용도로 그 적용 범위가 한정돼 있었으나 이 기술은 한팔 로봇보다 약 2배 이상의 작업 속도를 올릴 수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방식에 적용이 가능해져 기존 한팔 로봇시장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 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기술을 발전시키면 이제 소품종 대량 양산체제의 생산품목 뿐만아니라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에도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기술 적용과 함께 산업 전반적으로 특히 작업자 기피공정인 3D업종의 활용에도 기대를 할 수 있어 기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을 개발한 박 박사는 "이번 기술개발로 양팔로봇기술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게 됐다"며 "섬세한 조립작업이 요구되는 조선이나 항공, 방위산업 등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13년 로봇분야 세계시장규모는 19조5000억원으로 예상되며, 이 양팔로봇도 향후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되어 차후 이 시장의 전망은 무궁무진한 시장으로 볼수있는 차세대 우리의 먹거리임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상기온에 대한 식량정책의 전환이 필요 (0) | 2010.08.07 |
---|---|
원전시대의 준비와 ASME N/NPT STAMP (0) | 2010.07.23 |
LNG선의 핵심기술 .. 멤브레인 기술 (0) | 2010.07.18 |
한국의 중동붐과 실익의 주체 (0) | 2010.07.05 |
중국과의 기술차이 3~4년이라는데~ (0) | 2010.06.22 |